시작페이지로 설정 | 즐겨찾기추가 로그인 | 회원가입 | 교재구입 | 고객센터 | 이벤트 | 단체교육신청
홈 > 고객센터 > 언론보도자료
TITLE ◆ 부동산자산관리사 원포인트 레슨 ◆ 부동산 보유만 생각할 때 아니다…이젠 소유·운영 분리해야
WRITER 관리자 WRITEDAY 2012-04-16
◆ 부동산자산관리사 원포인트 레슨 ◆ 부동산 보유만 생각할 때 아니다…이젠 소유·운영 분리해야



[박태원 광운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주임교수]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른 부동산 시장 움직임은 매우 역동적이었다.

부동산은 경제적 재화로 자본주의 시장에서 공공재와 사유재로의 이중적 특성이 있다. 최근 들어 자본의 국제화와 세계화, 그에 따른 도시 경쟁으로 부동산 개발 양상은 더 복잡하다. 부동산 개발 패러다임과 트렌드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첫째, 인구와 가구구조 변화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변화다. 저출산과 고령화, 만혼과 독신추구 경향이 본격화하면서 전통적인 주택시장은 변하고 있다. 가구가 실버계층, 싱글족, 골드미스ㆍ미스터족으로 분화하며 여러 욕구를 드러내고 있다. 전통적인 주택 대량생산체제는 한계를 맞았다. 대신 수요대응형 주택상품, 융복합형 부동산상품, 문화와 디자인이 결합한 테마 부동산상품이 나오고 있다.

둘째,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른 부동산 개념 변화다. `집을 사서 보유하면 값이 오른다`는 믿음과 `건설은 곧 수요`라는 종래 개념이 붕괴됐다. 부동산 가치 하락은 개인과 기업에 `더 이상 부동산이 안전한 투자처가 아니다`는 사실을 일깨워줬다.

셋째, 소유와 운영의 분리다. 부동산의 환금성이 떨어지고 매매 투자이익을 보장받기 어려워지고 있다. 기업은 과다 부동산을 보유하기보다는 최소한 부동산을 보유하고 공간을 임대하는 등 자금흐름 유연성을 중시하고 있다.

개인들도 부동산 차익보다 여러 부동산을 임대해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수익을 내는 것을 선호하게 됐다. 부동산 소유와 운영이 분리됨에 따라 운영수익을 목적으로 부동산에 투자하는 투자자나 투자회사가 등장하고 있다. 선진국형의 전문적인 부동산자산관리회사는 앞으로 급속히 성장할 것이다.

부동산시장 변화와 트렌드는 기존과는 전혀 다른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맞춰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부동산자산개발 패러다임이 소비자 수요를 기반으로 유연성과 탄력성을 갖춰야 할 것이다.

 
◆ 부동산 패러다임의 향후 변화 양상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부동산 수요자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다양한 욕구 분출

②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부동산개념 변화로 취득과 보유에서 탈피 현상

③ 부동산 시장의 선진화에 따라 부동산 소유와 운영의 통합

④ 주택 대량생산체제에서 수요대응형 주택상품 개발로의 전환

⑤ 부동산 소비에서 주거와 업무, 상업, 레저 결합하는 융복합상품 가속화

▶정답 ③번 : 부동산 소유와 운영은 점차 분화되는 추세다.


 

※ 자세한 문의는 edu.krpm.co.kr, 1544-5584

[박태원 광운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주임교수]

LIST

PRBV_TEXT 건설타임즈 4월10일자 "부동산자산관리사協, 새 부동산 자산관리 서비스 실시 "
NEXT_TEXT <매일경제> - 한국부동산자산관리사협회, 부동산 희망 대특강 성황리에 진행